studyLog/CS

JS직렬화에 대해서 알아보자 + 다른 사람도 알아듣게 말하기
공부를 하다가, 직렬화라는 개념에 대해 알 필요가 있었다. 단어부터 어려운 이 직렬화란 무엇이고 또 왜 필요한걸까? 구글에 검색해보니 직렬화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Serialization은 개체를 저장하거나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로 전송하기 위해 개체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다. 주 목적은 필요할 때 다시 개체로 만들 수 있도록 개체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 역 프로세스를 deserialization이라 한다. 이해가 안 될 수 있다. 왜 데이터를 변환시켜서 저장하고 전송하는 걸까?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보내면 사용할 수 없는걸까? 그건 바로 데이터의 특성때문이라고 한다. 일단 아래 사례로 빗대어서 이해해보자. 친구와 전화를 하던 중, 내가 키우는 아주 귀여운 강아지를..

CORS는 도대체 뭘까..?
1.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다. CORS를 이해하기 위해선 SOP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야 한다. SOP란? Same-Origin policy (SOP)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보안 방식으로, CORS 에러를 일으키는 정책이다. The same-origin policy is a critical security mechanism that restricts how a document or script loaded by one origin can interact with a resource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