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3개월 수습 후기
지난 8월에 입사해 이제 막 3개월 수습기간을 진행했습니다. 수습 기간을 마치는 기념으로 짤막한 회고를 해보려 합니다. | 지난 3개월간 느끼고 경험했던 것을 위주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배경 2019년 우간다에서 무릎을 심하게 다치고 20시간에 넘는 비행을 무릎을 부여잡고 한국으로 돌아오던 때가 기억이 납니다. 그때 멀리서 아파본 경험 때문인지 이 서비스를 조금이나마 제 힘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면, 주도적으로 즐겁게 일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으로 첫 회사를 선택했습니다. 지난 8월에 입사해 이제 막 3개월 수습기간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3개월간 느끼고 경험했던 것을 위주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입사 첫 날 아직도 입사 첫날 느꼈던 감정이 기억나네요. 물론 3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러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지..

관성적인 야근을 하고 있다면
파레토 법칙(80/20의 법칙) 이란게 있다. 대략적으로 20%의 원인에서 80%의 결과가 나온다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20퍼센트의 사람이 80퍼센트의 부를 가지고 있고, 회사 매출의 80%가 20%의 제품군에서 나오는 현상이다. 실제로 우리 핸드폰을 들여다봐도 이 법칙이 적용된다.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이 아무리 많더라도, 하루에 한번씩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은 카카오톡, 유튜브, 인스타그램이 전부인 것처럼 말이다. 이런 법칙이 전반적으로 모두 맞다고 말하기도 어렵고, 삶에 모두 녹아드는 것도 아니다.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input이 1이라고해서 output이 1이 아니라는 것'이다. 같은 법칙이 직장에서도 적용이 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우리가 일하는 시간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일전에 블라인드..

개발자의 자질
회사 밖에서 회사 일을 생각하면 아마추어라던데, 아직 난 애송이가 맞는 것 같다. 퇴근길에 개발자가 필요한 자질에 대해서 영상을 보게 됐다. 그에 대한 생각을 짧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개발자를 하기 위한 자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오래 앉아있다던가 문제 해결을 좋아한다던가 새로운 트렌드 기술에 밝아야 한다던가 ... 뭐 이런 자질이 있겠다. 그런데 보면 알겠지만, 어느것 하나 나에게 해당되는 말이 없는 것 같다. 음,, 생각해보면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시간적, 물리적 자원이 없어서 인맥이 없어서 돈이 없어서 ... 위의 이유로 목표에 다가가기 어려워 했던 것 같다. 생각을 조금만 달리해보자. 저런 핑계를 내놓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이 하기 싫어서였다..